[2016.06.01] <조선 구조조정 방향은> ③경쟁력 갉아먹은 일본서 배운 교훈
페이지 정보
Author Admin 작성일16-06-01 09:14 Hit14,881 Count Comments0 Count관련링크
본문
日, 70·80년대 생산능력 반토막…경기 회복기에 주도권 뺏겨
경쟁력 확보가 관건…"미래 경쟁력 위해 고급 인력 유지하고 신기술 투자해야"
일본은 1960년대 중반 전 세계 선박 건조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압도적인 조선 강국이었지만 1970년대와 1980년대 2차례 구조조정을 겪으면서 한국과 중국의 추월을 허용했다.
일본은 70·80년대 1·2차 석유 파동으로 유조선 등 선박 수요가 급감하자 정부 주도로 조선업체의 생산능력을 전성기의 절반으로 줄였고 수만명의 근로자가 일터를 떠났다. 이후 90년대 후반부터 전 세계 조선 경기가 상승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일본은 다운사이징 중심의 구조조정을 한 탓에 한국과 중국에 일감을 내줘야 했다.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은 1일 국내 조선업의 구조조정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일본을 반면교사 삼아 급격한 생산능력 감축은 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경기 회복에 대비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조언했다.
업계 등에 따르면 일본은 1차 석유 파동으로 선박 수요가 급감하자 1979년 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 5천GT(gross tonnage)급 이상의 선박을 건조할 능력을 갖춘 대형 업체들을 중심으로 생산능력을 35%가량 줄였다.
일본은 2차 석유 파동 이후인 80년대 후반에도 과잉 설비를 줄였고 결국 생산능력을 전성기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했다.
이 과정에서 수만명의 숙련된 근로자가 정리됐고 상당수의 대학에서는 조선공학과가 사라지면서 지금까지도 젊은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OECD 조선작업반(Working Party 6) 자료에 따르면 일본의 조선업 종사자는 1980년 18만5천명에서 2012년 8만4천명으로 줄었고,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0.33%에서 0.13%로 감소했다.
한때 높은 생산력을 자랑하던 일본의 조선업 노동자들은 극심한 구조조정의 후유증 등으로 90년대에 들어서 인건비가 한국보다 빠르게 증가했지만, 생산성 향상 속도는 더뎠다.
그러나 한국은 일본과 달리 과거 불황기에 생산능력을 키웠고, 이는 이후 수요 상승기에 일본을 따라잡을 수 있는 발판이 됐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백점기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우리는 90년대 불황기에도 오히려 설비를 확충한 덕분에 2000년대 활황기에 일본을 따라잡을 수 있었다"며 "일본처럼 대규모로 도크를 폐쇄하고 사람을 자르면 이후 업황이 좋아질 때 대응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구조조정으로 생산력이 줄어든 일본이 손을 못쓰는 동안 한국과 중국 업체가 무섭게 추격하면서 일본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1999년 34%에서 2011년 18%로 줄었다.
일본조선공업회에 가입한 대형 조선업체 선박 건조·수리 매출이 일본의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75년 1.2%에서 2010년 0.5%로 반 토막 났다.
이후 일본 정부는 조선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출 크레딧, 무역 보험, 연구개발비 등 각종 지원을 2004년 3억7천800만 달러에서 2011년 16억2천200만 달러로 대폭 확대했지만, 아직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다.
도크 등 설비를 짧은 기간에 확충하기 어려운데다 더 큰 문제는 전문 인력 육성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업계에서는 중국이 급속도로 한국을 따라잡은 원인에는 벌크선 등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지 않은 선박에 집중한 측면도 있지만, 대우조선해양[042660]에서 퇴직한 임원 상당수가 중국 업체로 이직했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있다.
이 때문에 미래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직원들에게 일정 기간 휴직기간을 주는 등 인력 유출을 방지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이은창 포스크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최고 기술력을 가진 인력이 많은데 구조조정하면 다 일본이나 중국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며 "우수 인력을 유지할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활황기까지 누가 더 오래 버티느냐의 문제"라며 "생산능력을 어디까지 줄이는 것이 적정 규모인지 기업과 채권단, 정부 등 이해관계자가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일본이 구조조정 과정에서 저가형 선박을 내주고 LNG운반선과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 가치 선박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한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본은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연비를 개선한 '친환경' 선박에 미래 수요가 있다고 보고 지난 몇 년간 이 분야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당장 수요가 없어도 친환경 선박과 해양플랜트 등 미래 먹을거리에 대한 투자를 게을리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반면, 일본이 과감한 구조조정을 했기 때문에 지금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시각도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당장 발이 썩어들어가는데 그냥 두면 몸 전체가 상할 수 있다"며 "경기가 언제 회복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과잉 설비를 빨리 정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bluekey@yna.co.kr
경쟁력 확보가 관건…"미래 경쟁력 위해 고급 인력 유지하고 신기술 투자해야"
일본은 1960년대 중반 전 세계 선박 건조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압도적인 조선 강국이었지만 1970년대와 1980년대 2차례 구조조정을 겪으면서 한국과 중국의 추월을 허용했다.
일본은 70·80년대 1·2차 석유 파동으로 유조선 등 선박 수요가 급감하자 정부 주도로 조선업체의 생산능력을 전성기의 절반으로 줄였고 수만명의 근로자가 일터를 떠났다. 이후 90년대 후반부터 전 세계 조선 경기가 상승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일본은 다운사이징 중심의 구조조정을 한 탓에 한국과 중국에 일감을 내줘야 했다.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은 1일 국내 조선업의 구조조정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일본을 반면교사 삼아 급격한 생산능력 감축은 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경기 회복에 대비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조언했다.
업계 등에 따르면 일본은 1차 석유 파동으로 선박 수요가 급감하자 1979년 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 5천GT(gross tonnage)급 이상의 선박을 건조할 능력을 갖춘 대형 업체들을 중심으로 생산능력을 35%가량 줄였다.
일본은 2차 석유 파동 이후인 80년대 후반에도 과잉 설비를 줄였고 결국 생산능력을 전성기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했다.
이 과정에서 수만명의 숙련된 근로자가 정리됐고 상당수의 대학에서는 조선공학과가 사라지면서 지금까지도 젊은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OECD 조선작업반(Working Party 6) 자료에 따르면 일본의 조선업 종사자는 1980년 18만5천명에서 2012년 8만4천명으로 줄었고,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0.33%에서 0.13%로 감소했다.
한때 높은 생산력을 자랑하던 일본의 조선업 노동자들은 극심한 구조조정의 후유증 등으로 90년대에 들어서 인건비가 한국보다 빠르게 증가했지만, 생산성 향상 속도는 더뎠다.
그러나 한국은 일본과 달리 과거 불황기에 생산능력을 키웠고, 이는 이후 수요 상승기에 일본을 따라잡을 수 있는 발판이 됐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백점기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우리는 90년대 불황기에도 오히려 설비를 확충한 덕분에 2000년대 활황기에 일본을 따라잡을 수 있었다"며 "일본처럼 대규모로 도크를 폐쇄하고 사람을 자르면 이후 업황이 좋아질 때 대응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구조조정으로 생산력이 줄어든 일본이 손을 못쓰는 동안 한국과 중국 업체가 무섭게 추격하면서 일본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1999년 34%에서 2011년 18%로 줄었다.
일본조선공업회에 가입한 대형 조선업체 선박 건조·수리 매출이 일본의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75년 1.2%에서 2010년 0.5%로 반 토막 났다.
이후 일본 정부는 조선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출 크레딧, 무역 보험, 연구개발비 등 각종 지원을 2004년 3억7천800만 달러에서 2011년 16억2천200만 달러로 대폭 확대했지만, 아직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다.
도크 등 설비를 짧은 기간에 확충하기 어려운데다 더 큰 문제는 전문 인력 육성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업계에서는 중국이 급속도로 한국을 따라잡은 원인에는 벌크선 등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지 않은 선박에 집중한 측면도 있지만, 대우조선해양[042660]에서 퇴직한 임원 상당수가 중국 업체로 이직했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있다.
이 때문에 미래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직원들에게 일정 기간 휴직기간을 주는 등 인력 유출을 방지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이은창 포스크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최고 기술력을 가진 인력이 많은데 구조조정하면 다 일본이나 중국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며 "우수 인력을 유지할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활황기까지 누가 더 오래 버티느냐의 문제"라며 "생산능력을 어디까지 줄이는 것이 적정 규모인지 기업과 채권단, 정부 등 이해관계자가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일본이 구조조정 과정에서 저가형 선박을 내주고 LNG운반선과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 가치 선박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한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본은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연비를 개선한 '친환경' 선박에 미래 수요가 있다고 보고 지난 몇 년간 이 분야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당장 수요가 없어도 친환경 선박과 해양플랜트 등 미래 먹을거리에 대한 투자를 게을리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반면, 일본이 과감한 구조조정을 했기 때문에 지금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시각도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당장 발이 썩어들어가는데 그냥 두면 몸 전체가 상할 수 있다"며 "경기가 언제 회복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과잉 설비를 빨리 정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bluekey@yna.co.kr
Comment List
There's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