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05]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력 확보 정책 건의 필요
페이지 정보
Author Admin 작성일16-04-11 13:05 Hit18,477 Count Comments0 Count관련링크
- http://m.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505219 9885 Connection
본문
'경남도 조선해양산업 중장기 진흥계획'이 대폭 수정된 결정적인 계기는 2014·2015년 이어진 대형 조선사의 해양플랜트 분야 대규모 손실이었다.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해양 빅 3사 영업손실 대부분이 해양플랜트에서 발생했다.
대규모 적자는 역설적이게도 '장밋빛 미래'로만 여겼던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의 민낯을 볼 수 있게 했다. 국내 건조업체의 산업 내 위치, 세계 해양플랜트 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 국내 업체의 기술적 수준, 턱없이 낮은 기자재 국산화율 등이 알려졌다. '장밋빛 미래'라는 수사는 사라졌고 국내 빅 3사가 왜 10조 원에 가까운 대규모 손실을 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부가가치의 상류에 있는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프로젝트 경영컨설팅(PMC), 개념·피드·기본·상세 설계, 감리 등)·전무, 이에 따른 기자재 구매 자율성도 적어 기자재 국산화도 요원한 점, 고부가 톱 사이드(Top-side) 기자재 기술 극히 부족, 자원 채취 경험이 없어 해양플랜트 운영·사후 서비스 능력 전무, 해상구조물·URF(Umbilicals, Risers, Flowlines)·심해저(Sub sea) 생산(처리) 시스템이라는 해양플랜트 전 분야 중 해상구조물 건조에 한정된 제작 능력으로 전체 산업 가치사슬 중 아직 일부에 국한된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현실에 처해 있다.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이 이 분야 글로벌 생태계에서 한 축으로 이제 갓 진입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 사진. FPSO는 심해저에 구멍을 뚫어 파이프라인을 이어서 원유를 뽑아 올리고 불순물을 제거해 원유로 정제하는 시설까지 갖춘 심해용 설비다. /대우조선해양
이번 경남도 중장기 진흥계획은 다행히 이런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 수준을 반영해 현실적인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점에서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광역행정기관 계획인 만큼 에너지산업과 연계한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력 확보, Sub-sea 분야 기술력 확보 방안 등은 담겨 있지 않아 한계 또한 없지 않았다.
경남도는 기존 조선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해양플랜트 중심의 복합산업으로 해양산업 패러다임을 바꿀 시기라고 했다.
'2030년 세계 1위 해양강국 유지'를 위해 첨단 엔지니어링 기반의 해양플랜트 산업 경쟁력 강화(특화 클러스터 구축), 해양산업 융합으로 그린 오션 창출(핵심기술 라이선스 확보와 모듈형 기자재산업 육성, 19% 수준인 기자재 국산화율 60%로 제고), 신산업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경남도 정책시스템 구축(브랜드 사업 추진, 선택과 집중으로 콘셉트 형 연구개발 전략 마련) 등을 목표로 삼았다.
9개 중점과제로 △해양산업 융복합기반 구축(해양산업 융복합센터 건립, 시험인증 등 R&D 국제 상호협력체계 구축, 경남 해양정보지식센터 구축) △거제에 설립 예정인 해양플랜트산업 연구단지 조성으로 성장기반 조성 △조선해양 미래전략 품목과 잠재기업 육성 활성화 △국외 전문 고급기술인력 유치로 기업 경쟁력 강화 △대-중소 연계 조선해양산업 글로벌 마케팅 지원 △조선해양 Eq-Hub 구축으로 비즈니스 창출 등을 담았다. 해양산업융복합센터·경남 해양정보지식센터는 아직 국비 확보 등이 안 된 계획 단계 사업이다. 연구개발 과제로 FPSO 톱 사이드 패키지 1종, 드릴링 핵심 패키지 국산화, Sub sea 핵심 패키지 국산화 등을 설정해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이런 다양한 목표 제시와 과제 발굴·시행에도 이번 중장기 진흥계획은 시험·인증, 마케팅, 부분 기술 연구개발 등 기자재에 대부분 국한된 내용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한국기계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의 최근 연구보고서와 정책제안서, 백점기 부산대 교수(조선해양공학과) 등 전문가들은 해양플랜트 분야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력 확보를 위한 담대한 프로젝트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국내 에너지 공기업과 연계한 원유·천연가스 발굴부터 컨설팅-시추-설계-자재구매-건조-시운전-설치-운영에 이르는 수행 실적(track record) 쌓기, 이를 통한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력 확보와 Sub-sea 기술 확보, 서비스 시장 개척 등은 이번 계획에서 찾아볼 수 없다.
이 정책 수립·시행을 위해서는 최소 조 단위가 훌쩍 넘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 사전 대국민 설득이 필요하고, 정치권 내부 의견을 모아야 해 광역행정기관인 경남도 노력만으로는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미 중국은 2011년부터 자국 유전 개발과 연계한 해양플랜트 진흥정책을 세워 실행하고 있어 역전은 시간문제라는 게 전문가 견해다. 일본도 자국의 세계적인 해양플랜트 전문 EPC업체인 MODEC의 수행실적을 자원 개발과 해상구조물 건조에 접목하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중국·일본과 달리 가장 최근 우리 정부 계획인 '산업통상자원부 해양플랜트산업 발전 방안'(2013년 11월 중순 발표) 어디에서도 에너지 산업과 연계한 계획은 찾아볼 수 없다. 경남도가 도 단위 진흥계획 수립과 별도로 전문가 의견을 모아 관련 대정부 건의를 시급히 해야 하는 구체적인 이유다.
최만림 경남도 미래전략산업본부장은 "정부 단위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광역자치단체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기자재업체 등 관련 중소기업에 더 많은 관심을 둬줬으면 한다. 산업 특성상 국외 벤더 등록 자체가 정말 까다롭고 어렵다. 이런 부분에 정부 지원이 더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시우 기자 hbjunsa@idomin.com
대규모 적자는 역설적이게도 '장밋빛 미래'로만 여겼던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의 민낯을 볼 수 있게 했다. 국내 건조업체의 산업 내 위치, 세계 해양플랜트 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 국내 업체의 기술적 수준, 턱없이 낮은 기자재 국산화율 등이 알려졌다. '장밋빛 미래'라는 수사는 사라졌고 국내 빅 3사가 왜 10조 원에 가까운 대규모 손실을 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부가가치의 상류에 있는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프로젝트 경영컨설팅(PMC), 개념·피드·기본·상세 설계, 감리 등)·전무, 이에 따른 기자재 구매 자율성도 적어 기자재 국산화도 요원한 점, 고부가 톱 사이드(Top-side) 기자재 기술 극히 부족, 자원 채취 경험이 없어 해양플랜트 운영·사후 서비스 능력 전무, 해상구조물·URF(Umbilicals, Risers, Flowlines)·심해저(Sub sea) 생산(처리) 시스템이라는 해양플랜트 전 분야 중 해상구조물 건조에 한정된 제작 능력으로 전체 산업 가치사슬 중 아직 일부에 국한된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현실에 처해 있다.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이 이 분야 글로벌 생태계에서 한 축으로 이제 갓 진입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 사진. FPSO는 심해저에 구멍을 뚫어 파이프라인을 이어서 원유를 뽑아 올리고 불순물을 제거해 원유로 정제하는 시설까지 갖춘 심해용 설비다. /대우조선해양
이번 경남도 중장기 진흥계획은 다행히 이런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 수준을 반영해 현실적인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점에서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광역행정기관 계획인 만큼 에너지산업과 연계한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력 확보, Sub-sea 분야 기술력 확보 방안 등은 담겨 있지 않아 한계 또한 없지 않았다.
경남도는 기존 조선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해양플랜트 중심의 복합산업으로 해양산업 패러다임을 바꿀 시기라고 했다.
'2030년 세계 1위 해양강국 유지'를 위해 첨단 엔지니어링 기반의 해양플랜트 산업 경쟁력 강화(특화 클러스터 구축), 해양산업 융합으로 그린 오션 창출(핵심기술 라이선스 확보와 모듈형 기자재산업 육성, 19% 수준인 기자재 국산화율 60%로 제고), 신산업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경남도 정책시스템 구축(브랜드 사업 추진, 선택과 집중으로 콘셉트 형 연구개발 전략 마련) 등을 목표로 삼았다.
9개 중점과제로 △해양산업 융복합기반 구축(해양산업 융복합센터 건립, 시험인증 등 R&D 국제 상호협력체계 구축, 경남 해양정보지식센터 구축) △거제에 설립 예정인 해양플랜트산업 연구단지 조성으로 성장기반 조성 △조선해양 미래전략 품목과 잠재기업 육성 활성화 △국외 전문 고급기술인력 유치로 기업 경쟁력 강화 △대-중소 연계 조선해양산업 글로벌 마케팅 지원 △조선해양 Eq-Hub 구축으로 비즈니스 창출 등을 담았다. 해양산업융복합센터·경남 해양정보지식센터는 아직 국비 확보 등이 안 된 계획 단계 사업이다. 연구개발 과제로 FPSO 톱 사이드 패키지 1종, 드릴링 핵심 패키지 국산화, Sub sea 핵심 패키지 국산화 등을 설정해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이런 다양한 목표 제시와 과제 발굴·시행에도 이번 중장기 진흥계획은 시험·인증, 마케팅, 부분 기술 연구개발 등 기자재에 대부분 국한된 내용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한국기계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의 최근 연구보고서와 정책제안서, 백점기 부산대 교수(조선해양공학과) 등 전문가들은 해양플랜트 분야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력 확보를 위한 담대한 프로젝트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국내 에너지 공기업과 연계한 원유·천연가스 발굴부터 컨설팅-시추-설계-자재구매-건조-시운전-설치-운영에 이르는 수행 실적(track record) 쌓기, 이를 통한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력 확보와 Sub-sea 기술 확보, 서비스 시장 개척 등은 이번 계획에서 찾아볼 수 없다.
이 정책 수립·시행을 위해서는 최소 조 단위가 훌쩍 넘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 사전 대국민 설득이 필요하고, 정치권 내부 의견을 모아야 해 광역행정기관인 경남도 노력만으로는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미 중국은 2011년부터 자국 유전 개발과 연계한 해양플랜트 진흥정책을 세워 실행하고 있어 역전은 시간문제라는 게 전문가 견해다. 일본도 자국의 세계적인 해양플랜트 전문 EPC업체인 MODEC의 수행실적을 자원 개발과 해상구조물 건조에 접목하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중국·일본과 달리 가장 최근 우리 정부 계획인 '산업통상자원부 해양플랜트산업 발전 방안'(2013년 11월 중순 발표) 어디에서도 에너지 산업과 연계한 계획은 찾아볼 수 없다. 경남도가 도 단위 진흥계획 수립과 별도로 전문가 의견을 모아 관련 대정부 건의를 시급히 해야 하는 구체적인 이유다.
최만림 경남도 미래전략산업본부장은 "정부 단위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광역자치단체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기자재업체 등 관련 중소기업에 더 많은 관심을 둬줬으면 한다. 산업 특성상 국외 벤더 등록 자체가 정말 까다롭고 어렵다. 이런 부분에 정부 지원이 더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시우 기자 hbjunsa@idomin.com
Comment List
There's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