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22] "해양플랜트 산업 주도권 위한 세밀한 전략 고민해야" > Press Releases

본문 바로가기

Press Releases

[2015.12.22] "해양플랜트 산업 주도권 위한 세밀한 전략 고민해야"

페이지 정보

Author Admin 작성일15-12-22 09:06 Hit17,331 Count Comments0 Count

본문

초기 진입 수준인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에 미래가 있을까? 전문가 대부분은 "미래가 있으며 반드시 유지해야 할 산업"이라고 한다. 단, 지금 같은 대규모 적자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이전보다 훨씬 냉정하게 원유·천연가스를 중심으로 한 국제 에너지 산업 동향, 이를 둘러싼 국제 정치·외교전을 분석하고 국내 금융 현실에 맞게 수주 규모가 아닌 영업이익 중심으로 한 계약 체결을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더불어 정부와 광역자치단체는 이 산업의 핵심 기술을 국내 조선 3사와 기자재 업체가 하루빨리 획득할 수 있도록 과감한 프로젝트와 금융 지원을 해야 한다고 제시한다. 소규모 기자재 국산화 정책 지원 등 어정쩡한 현재 수준으로는 국내 업체가 산업 주도권을 갖기는 요원하기 때문이다.



◇해양플랜트, 유가 경쟁력 있나? = 지난 4일 OPEC 정례회의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한 중동 산유국은 지난해 11월 말에 이어 다시 한 번 '감산 불가'를 결정했다. 배럴당 40달러선이던 두바이유와 서부텍사스유는 이 결정 뒤 지난 18일 기준 각각 배럴당 34.58달러, 34.73달러까지 곤두박질쳤다. 이란은 원유 증산을 계획하고 미국도 '40년 만의 석유 수출 금지 정책 폐기'라는 공화당 제안을 민주당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 공화당은 메이저 오일사를 지지기반으로, 민주당은 셰일·오일가스 업체를 지지 기반으로 한다. 이란 석유 수출 재개와 함께 수요보다 공급이 과잉되는 시장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심해 유전 손익분기점이 배럴당 최저 60달러에서 70달러 중·후반인 상황에서 과연 해양플랜트 수주가 재개될 수 있을까?

최근 몇 년간 원유·천연가스 초과 공급의 진앙이던 셰일 오일 손익분기점은 기술 향상으로 내렸더라도 배럴당 70∼80달러 선이다. 단순 채산성만 비교하면 심해 유전이 셰일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다. 중동 산유국 중심의 셰일 오일·가스 업체 죽이기를 위한 '비정상적인 유가 치킨 게임'에서 비롯한 현재 저유가 상황이 끝나면 심해 유전과 셰일 오일은 상당 기간 상호 경쟁 관계를 형성할 것이다. 최대 호황 때 규모는 아니지만 해양플랜트 수주도 일정하게 재개될 수 있다.

백점기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잭업 리그를 주로 사용해 대륙붕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북해 석유 유전에 사용된 해양플랜트가 대부분 30년이 넘어 노후화해 개량·해체·신주 발주할 물량이 유가 정상화 시점에 맞춰 조만간 쏟아질 것이다. 재개 시점이 문제이지 육상 원유생산은 한계에 이르러 해양플랜트 물량이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국내 조선 3사와 해양플랜트 기자재업체로서는 유가가 언제 정상화되느냐이다. 상당수 전문가는 내년 11월 8일 미국 대선 전후를 꼽는다. 미국의 석유 수출 재개 움직임도 단기적으로는 국내 원유 생산업체 보호 차원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에너지 자립화로 고비용이 드는 중동 의존 정책을 버리려는 첫발이라는 시각도 있다.

또한, 오바마 재선 때부터 세일가스·오일업체 지지를 받아온 미국 민주당이 자국 셰일 생산업체 보호로 가닥을 잡을지, 아니면 아직 필요한 중동 오일 머니의 자국 유입을 국내외 정책 중심에 둘지 대선 전후로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대선은 유가 변동의 주요 변수가 될 것임은 분명하다.

원유가격이 정상화하더라도 셰일 오일 존재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가 넘는 고유가 시대는 당분간 없고 배럴당 80달러 이하로 2020년까지 유지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셰일 오일보다 가격 경쟁력 우위 확보에 사활을 = 김진근 경남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유가가 정상화해도 2011∼2013년처럼 해양플랜트 물량이 대규모로 쏟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괄 수주(EPC) 방식의 현재 계약을 적정 가격 보장을 받는 형태로 전환이 필요한 이유다.

또한, 셰일 오일(가스)과 경쟁에서 앞서가려면 국내 해양플랜트 생산 업체도 기본설계 등 엔지니어링 능력과 핵심 기자재 기술 확보, 기자재 국산화율 확대로 지금의 배럴당 60∼70달러 중·후반대 채산성을 얼마나 끌어내리느냐는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사활이 걸린 문제다.

전체 계약금 중 10%(착수금)만 주고 인도 때까지 생산업체가 전체 자금을 책임지는 헤비테일(Heavy tail) 방식 계약 전환을 위한 조선 3사 노력도 필요하지만 착수금 1%만 주면 중국 국영은행이 99% 자금을 발주사에 지원하는 중국 업체와 경쟁해야 하는 현실도 무시할 수 없다. 정부가 어떤 금융 지원 정책을 펼지 논의가 아니라 가닥을 잡을 시기다.

이상용 한국은행 경남본부 기획조사팀장은 "생산업체와 엔지니어를 만나면 모두 유지해야 할 산업이라고 한다. 그런데 대규모 부실이 나면 여신 관리 책임자가 옷 벗어야 하는 현실이 있다. 이런 금융권 현실과 산업 유지 필요성 간 접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과거처럼 들뜨지 말고 냉정하되 현재 유동성 위기만 보고 지금껏 치른 값비싼 수업료를 백지화해서는 안 된다. 2013년 기준 경남 제조업 생산액의 24.2%를 선박보트 건조업이 차지했고 그중 상당수를 해양플랜트가 맡을 정도로 대체 불가능한 산업이다. 또한, 장기 에너지 수요를 봐도 여전히 유효한 산업이다. '산업 주도권 확보'라는 힘겹지만 실질적인 도전을 해야 한다. 이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자치단체·금융권과 해당 업계 모두 새롭고 대담한 전략을 짜야 할 시기"라고 제안했다.

Comment List

There's no comments